참호전 : 전차의 등장 > 캐나다 이민/비자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캐나다 이민과 관련된 뉴스를 제공하는 공간입니다.
캐나다 이민/비자 뉴스

연방기술직 | 참호전 : 전차의 등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0rTNW81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11-20 20:42 조회6회 댓글0건
  • 목록

본문

<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영국은 참호전으로 고착된 전선을 돌파하기 위해 당시 다목적 용도로써 개발된 홀트 사의 수송용 트랙터를 기반으로 하여 전차라는 새로운 무기를 개발하였다.</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 id="pi__32489479_3483273" class="pi__32489479_3483273"></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9fb21d2cc3ae82f64eaa2e1955d34bde.jpg" alt="홀트 트랙터1.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879865" style="font-size:13px;"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전차의 기반이 된 홀트 트랙터 &gt;</div><p id="pi__32489479_3483273" class="pi__32489479_3483273"><br><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먼저 무한궤도를 최초로 장착한 프로토 타입의 전차로써 리틀 월리라는 결과물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리틀 월리는 참호를 건너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한계로 인해 실전에 투입되지는 못했다.</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47e7e11ac9ba885ca885013ef2dd85ed.png" alt="트렉터를 이용한 초기 전차의 모습.pn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15625" style="font-size:13px;"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세계 최초의 전차 리틀 월리의 모습 &gt;</div><p><br><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여러 번의 시행착오 끝에 마침내 우리가 흔히 1차 세계 대전의 전차의 대명사로써 알고 있는 마크 전차가 등장하게 되었다. 영국은 1916년 9월 15일, 솜 전투에 49대의 전차를 최초로 투입한 것을 시작으로 이후 계속해서 전선에 전차를 투입하였다.</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69b7f63572edf3ab6c855b75aaed255e.jpg" alt="보병과 함께 이동 중인 Mark V.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64461" style="font-size:13px;"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보병과 함께 이동 중인 마크 전차 &gt;</div><div style="text-align:center;"><br></div><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151fd518a678a3900c5bb99525bad1f5.png" alt="포격을 뚫고 독일 참호를 돌파 중인 마크 전차1.pn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78110" title=""><br>&lt; 전선을 돌파 중인 마크 전차의 모습 &gt;<br><br></div><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영국은 전선에 지속적으로 전차를 공급하기 위해 꾸준히 전차 생산량을 늘려나갔으며 1918년 여름까지 영국은 약 2,600대의 탱크를 제조, 전선에 투입하였다.</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br></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b1f46146a8c720b883abf5b670194ce7.jpg" alt="마크 VI 탱크의 생산 라인.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56827" style="font-size:13px;"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공장에서 생산 중인 마크 전차 &gt;</div><br><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e8425a08855a3b8fb12ddbdf115632bd.jpg" alt="사열 중인 탱크들.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58446" title=""></div><div style="text-align:center;">&lt; 사열 중인 마크 전차 &gt;</div><p><br></p><p><span style="font-size:13px;"></span></p><div style="text-align:center;"><div style="UO5pLG:360px;"><video class="avideo-js" muted="" loop="" playsinline="" autoplay="" width="480" poster="//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8b93ee76ddfb90acac89ced4b1a6308f.gif.thumb.jpg" id="avideojs1" adata-setup='{"fluid": true}'><source src="//media.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8b93ee76ddfb90acac89ced4b1a6308f.gif.mp4?d" type="video/mp4">Video 태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video></div></div><div style="text-align:center;">&lt; 기동 중인 마크 전차의 모습 &gt;</div><p><p><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d8ee6b32b737a50ddc8f68761b7c9820.jpg" alt="강철파편으로부터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크.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67055" style="font-size:13px;"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강철 파편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 전차병들이 착용한 가면의 모습 &gt;</div> <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특히 1917년 11월 20일에 있었던 캉프레 전투의 경우 대량의 전차를 투입한 최초의 전투였는데 이 전투에서만 영국은 476대의 전차를 투입하였다.</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span><span style="font-size:13px;"> </span><span style="font-size:13px;"> </span></p><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70f7644e70ebd799a733db196b3da598.jpg" alt="캄브레 전선으로 이동하기 위해 대기 중인 탱크.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08244" style="font-size:13px;"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캉브레 전선으로 이동하기 위해 열차에 실려있는 마크 전차의 모습들 &gt;</div><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67db24bdbc1372ac4a820e1019b97c57.jpg" alt="캄브레 전선으로 이동하기 위해 대기 중인 탱크1.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10082" style="font-size:13px;"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캉브레 전선으로 이동하기 위해 열차에 실려있는 마크 전차의 모습 &gt;</div><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한편 프랑스도 1915년 후반부터 전차 개발을 시작하여 결국 르노 FT 경전차를 개발했다. 르노 전차의 경우 특히 최초로 회전식 포탑을 적용한 전차로 주목 받았는데 1918년 말까지 프랑스는 약 3,00대 이상의 전차를 생산하였다.</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4ab0f2e44e544067f14c3e6fe95411e7.png" alt="르노 FT-17 경전차(프랑스).pn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48362" style="font-size:13px;"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프랑스가 생산한 르노 FT 경전차 &gt;</div><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106d01b9beb712ad6a802080cbc89081.jpg" alt="이동 중인 르노 전차.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50056" style="font-size:13px;"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기동 중인 르노 FT 경전차의 모습 &gt;</div><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반면 독일은 영국이나 프랑스에 비해 매우 뒤쳐지는 모습을 보였다. 독일도 영국과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A7V 전차를 개발, 생산에 들어갔으나 전쟁 말기까지 20대만 생산하는데 그쳤던 것이다. 따라서 독일은 전쟁 내내 영국과 프랑스 전차를 노획하여 운영하는 모습을 보였다. </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be9cdf2a334e747d3743e4f91ddc18ad.jpg" alt="노획된 독일군 탱크.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26691" style="font-size:13px;"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독일이 생산한 A7V 전차의 모습 &gt;</div><div style="text-align:center;"><br></div><div style="text-align:center;"><div><div style="UO5pLG:360px;"><video class="avideo-js" muted="" loop="" playsinline="" autoplay="" width="480" poster="//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deec6c84170877a2f369d1d80cc3f0ca.gif.thumb.jpg" id="avideojs2" adata-setup='{"fluid": true}'><source src="//media.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deec6c84170877a2f369d1d80cc3f0ca.gif.mp4?d" type="video/mp4">Video 태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video></div></div>&lt; 실제 독일 A7V 전차의 기동 모습 &gt;</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br></div><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6fceb0f11a9f5b78f2a32cfee5b66c7a.png" alt="전복된 독일군 탱크.pn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33602" title=""><br>&lt; 전복된 독일 A7V 전차의 모습 &gt;<br><br></div><p><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beac13ce75362e340d62957dca99ae96.png" alt="독일군이 노획하여 사용한 마크 전차.pn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35260" title=""></div><div style="text-align:center;">&lt; 독일이 노획하여 사용한 마크 전차의 모습 &gt;</div><p><p><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16722d68e6d1b8eec029fe5626645b72.jpg" alt="독일군이 노획하여 사용한 Whippet 전차.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36349"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독일이 노획하여 사용한 Whippet 전차의 모습 &gt;</div><br><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그렇다고 해서 당시 전차가 마냥 만능의 무기였던 것은 아니었다. 전차 자체의 신뢰도가 상당히 떨어져 전선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동을 멈추는 경우가 매우 비일비재했던 것이다. 캉브레 전투의 경우만 봐도 영국은 476대의 전차를 투입했지만 전투 첫날이 끝날 무렵 이미 절반 이상이 작동을 멈춰버렸다.</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3a5e24fbd17842c68b13cb8fecb963d4.jpg" alt="참호에 빠져 버린 탱크.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81333" style="font-size:13px;"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참호에 빠져 전투불능이 된 마크 전차의 모습 &gt;</div><p><br><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또한 전차 장갑 자체도 기관총탄에 의해 구멍이 날 정도로 매우 얇았다. 물론 이는 장갑 보완 및 개량을 통해 점차 보완되어 갔지만 그 전까지 독일은 속도 느린 영국과 프랑스 전차를 상대로 수류탄과 화염 방사기, 대전차 라이플을 통해 영국과 프랑스의 전차들을 충분히 막을 수 있었다.</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jpg" alt="화염방사기로 마크 전차를 공격하는 독일군1.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885230" style="font-size:13px;" title=""></div><span style="font-size:13px;"></span><div style="text-align:center;">&lt; 화염 방사기를 통해 마크 전차를 제압 중인 독일군의 모습 &gt;</div><div style="text-align:center;"><br></div><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7e1b0caa02884520d5fbba01731d55d8.png" alt="격파된 전차와 사망한 승무원.pn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73910" title=""><br>&lt; 파괴된 마크 전차와 사망한 승무원의 모습 &gt;<br></div><p><p><br></p><p><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92e2ea72673952c17e1d26c7f54f02ba.png" alt="대전차용 저격병.pn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892688" title=""></div><div style="text-align:center;">&lt; 세계 최초의 대전차 라이플인 '탕크 게베어 M1918'을 운영 중인 독일군 병사의 모습 &gt;</div><p><br></p><p><div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c58e95e597dbec0c824b0cd3bc406de6.png" alt="대전차용 저격병1.pn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00230" title=""></div><div style="text-align:center;">&lt; 리엔필드 소총과 '<span style="text-align:center;">탕크 게베어 M1918'를 비교한 모습. 크기가 상당하다는 걸 알 수 있다. &gt;</span></div><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text-align:center;"><br></span></div><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text-align:center;"><img src="//image.fmkorea.com/classes/lazy/img/transparent.gif" data-original="//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6/486263/1408088851/2641879857/6180afd02a140c63ddac33293d9fa3fa.jpg" alt="파괴된 전차 주변으로 보이는 영국군 시체.jpg 참호전 : 전차의 등장" data-file-srl="2641942020" title=""><br>&lt; 파괴된 마크 전차와 영국군 시체 &gt;</span></div><br><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제 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전차가 주역이 되는 일은 없었다. 위에서 언급한 당시 전차 자체가 지니고 있었던 기술적 한계 때문인 이유도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당시의 전술 자체가 보병 위주로 이루어지다 보니 전차는 단순히 보병을 지원하는 보조 역할에 그쳤던 탓이다. </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span><span style="font-size:13px;"> </span><span style="font-size:13px;"> </span></p><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전차가 주역이 된 것은 제 2차 세계 대전부터였다.</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  본래는 지난 글인 '아라비아의 로렌스'로 참호전 시리즈를 끝낼려고 했는데 모아 둔 자료가 아까워서 하나 더 쓰게 되었습니다 ㅎㅎ 방금 축구 끝났는데 우승으로 마쳐서 기분이 좋네요. 우승까지 선수들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ㅎㅎ</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span></p><div style="text-align:center;"><div style="UO5pLG:360px;"><video class="avideo-js" muted="" loop="" playsinline="" autoplay="" width="640" poster="//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7/486263/1408088851/2641879857/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gif.thumb.jpg" id="avideojs3" adata-setup='{"fluid": true}'><source src="//media.fmkorea.com/files/attach/new/20200127/486263/1408088851/2641879857/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gif.mp4?d" type="video/mp4">Video 태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video></div></div><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br></span></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span style="font-size:13px;">참조 사이트 : 임페리얼 전쟁 박물관 사이트(</span><a href="https://www.iwm.org.uk/">https://www.iwm.org.uk/</a>)</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함께 보면 좋은 동영상 : 유튜브 '건들건들'의 '전함, 땅위에 오르다-MK 시리즈 탱크의 탄생'</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                                                '탱크를 처음 본 독일군, 그리고 육탄돌격'</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                                                '인류 최초의 전차전-빌레르  브르토뇌 전투'</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                                                '움직이는 요새-독일 최초의 전차 'A7V'의 탄생'</p><p class="바탕글" style="font-family:'바탕';line-height:2;"><br></p><div></div>  <div style="float: left; height: 1px overflow: hidden;"><br><br><div style="width:100%;height:120px;opacity:0;filter:alpha(opacity=0);-moz-opacity:0;-khtml-opacity:0;">
비트코인 구매 <a href="https://coinsolution.co.kr/" title="비트코인 구매">비트코인 구매</a><br><br>
비트코인구매 <a href="https://coinsolution.co.kr/" title="비트코인구매">비트코인구매</a><br><br>
비트코인 <a href="https://coinsolution.co.kr/" title="비트코인">비트코인</a><br><br>
</div></div>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목록

캐나다 이민/비자 뉴스 목록

Total 702건 1 페이지
캐나다 이민/비자 뉴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NOC 직업에 맞는 최저 급여 시급 댓글2 인기글 캐나다이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5453
공지 Express Entry 2016년 11월 19일 부터 캐나다 이민 변경안내 인기글관련링크 캐나다이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4 10846
공지 공지 범죄경력조회 회보서 온라인 발급 안내 인기글관련링크 캐나다이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8122
공지 공지 Express Entry 순위시스템 기준표 인기글관련링크 캐나다이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8172
공지 공지 Express Entry 정보를 알수 있는 이민국 사이트 주소를 알려드립니다. 인기글관련링크 캐나다이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7798
공지 공지 NOC 직업군 리스트 인기글관련링크 캐나다이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7941
공지 비자 캐나다 CIC 에 명시된 캐나다 이민 종류 안내 인기글관련링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11306
공지 기타 캐나다 이민 또는 시민권 진행상황 온라인으로 확인할수 있는 링크 인기글관련링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6 11821
공지 기타 캐나다 이민국 웹사이트 인기글관련링크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6 12647
693 연방전문인력 (스압) 도쿄 외노자의 최근 먹부림 리스트.jpg 새글 0rTNW81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0:22 0
692 주정부이민 현재 일본 넷플릭스 랭킹 순위.jpg 새글 ErbMa26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1
691 초청이민 모녀의 카톡 새글 0rTNW81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
690 난민신청 부산의 레전드였던 최동원 JPG 새글 ErbMa26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3
689 난민신청 토토에 전재산 몰빵한 팀닥터 gif 0rTNW81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8 3
688 Express Entry 하 똥싸다 에어팟변기에 떨꿨다... ErbMa26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8 2
687 사면신청 펨붕이 오른이됐습니다 0rTNW81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8 2
686 사면신청 발렌시아 - 기아몬 동점골.mp4 ErbMa26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8 4
685 사면신청 [약혐] 대치동 은마 아파트 내부. jpg 0rTNW81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3
684 난민신청 의외로 사내복지 철저한 곳.jpg ErbMa26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4
683 초청이민 보겸 근황 .jpg 0rTNW81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4
게시물 검색

접속자집계

오늘
141
어제
204
최대
451
전체
105,682
캐나다 미국 이민정보 공유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cifr.ca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